한방탈모치료는 과학이다

[탈모치료컬럼 ] 탈모치료에 쓰이는 내복(內服) 한약재의 특징.

심탈모 2008. 1. 1. 17:28

[탈모치료컬럼]탈모치료에 쓰이는 내복(內服) 한약재의 특징.

21세기들어 탈모환자가 점차 많아지는 현상을 보이면서 탈모연구에 대한 동서의학적 접근

이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는 실정입니다. 서양의학에서는 호르몬이나 영양학적인 입장에서

접근하여 현재 몇몇 치료제를 선보이고 있습니다만 약을 먹거나 바르는 동안에만 효과가

있고 또 일부 만만찮은 부작용이 있어서 선뜻 다가가기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탈모치료에 대한 연구가 다소 뒤쳐진 감은 있지만 현재 다양하게 나오고 있

는 탈모관련 제품들이 한약재를 주로 이용하고 있고, 일부 한약처방을 이용한 탈모 실험들

이 유의성 있는 결과를 보이면서 한방치료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본인도 수년전에 우연한 계기로 탈모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탈모에 대한 한방치료 자료들을 수집하였으며 그 수집되고 정리된 내용들을 실제 임상에

적용해보면서 한방치료의 길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고대 한방문헌을 살펴보면 탈모에 대한 자료들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그건 그 당시에는

탈모에 대한 고민이 지금처럼 많지 않았을 것 같고 또 평균수명이 짧았기에 탈모가 발생하

는 인구가 많지 않았을 것이며 청소년층의 탈모는 더욱 적었으리라 봅니다. 그래서 탈모에
대한 치료내용이 많지 않으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주로 노화나 스트레스로 인한 경우를 주

로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쓰여진 문헌이나 임상자료집을 살펴보면 점점 그 내용

들이 많아지고 다양해지고 있어서 후대에 올수록 탈모가 더 많이 발생하기는 하나봅니다.


오늘은 그러한 문헌적 자료를 기초로해서 탈모치료에 응용되는 한약재들의 특징을 알아보

도록 하겠습니다. 다양한 제품이나 한의원에서 복용하게 되는 한약들이 어떠한 근거로 쓰

는지는지를 알면 탈모치료를 이해하는데 조금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럼 약재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기에 앞서 한방에서는 어떤 이론적 근거로 탈모를 이해하

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이론적 근거를 알아야 왜 이런 한약재들이 주로 쓰이는지
보다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한방에서 모발은 “혈(血)”과 관련성이 많은 것으로 봅니다. “혈”은 단순히 혈액을 의미하

는 건 아니고 우리 몸을 자양하는 물질적인 기초를 말하며 그 안에는 혈액순환의 개념까지

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방에서는 인체의 각 기관을 자양하는 물질로 “혈” “진액” “정” 등

이 있다고 보며 이러한 물질들은 그 근본은 같으나 필요에 따라 그 모양이 달라지는 것뿐

이라고 보고 있습니다(精血同原 ; 精과 血은 같은 근본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정을 보충

해주는게 곧 혈을 보충하는 것이요, 그 반대로도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런데 혈(血)

과 정(精), 진액(津液)을 주관하는 장부가 바로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이다보니 한약재

중 보간(補肝), 보신(補腎) 해주는 한약재들이 탈모치료에 그대로 응용되기도 하는 것입니

다.

이렇듯 “혈”이나 “정”, “진액”을 보충해주면서 간장과 신장을 강화해주는 대표적인 약재로
숙지황, 하수오, 당귀, 구기자, 한련초, 상심자, 여정자, 흑지마, 오미자 등이 있습니다.

[탈모치료컬럼 ] 탈모치료에 쓰이는 내복(內服) 한약재의 특징(한약재정보).



혈(血)이나 정(精), 진액(津液)을 보충해주는 한약재는 이 외에도 인체의 물의 기운과 불

의 기운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해주므로서 탈모치료에 기여하는 바가 있습니다. 탈모로 고

민하는 분들은 대개 화(火)의 기운이 강해져서 얼굴이나 머리에서 열감을 느끼거나 열이

달아오르는 걸 잘 느끼는데 이러한 때에 물의 기운을 띠는 보혈(補血), 보정(補精)해주는

한약재들이 들어가서 불의 기운을 내려주고 물의 기운을 채워져서 균형을 맞춰주는 것입니

다. 그래서 보혈(補血) 보정(補精) 해주는 한약재 중에서도 성질이 평이하거나 시원한 약

재를 보다 많이 응용하게 됩니다.


그런데 한방에서는 “혈(血)은 기(氣)를 따라 소통한다”고 보기 때문에, 혈을 보해주려면

먼저 기를 보해주거나 기운의 소통을 조절해주는 법을 같이 적용했습니다. 즉, 보혈(補血)

보정(補精)해주는 한약재와 더불어 보기(補氣), 이기(理氣)는데 그 때 적용되는 한약재들

이 인삼, 황기, 진피, 향부자 등입니다. 이 약재들은 기를 보충해줘서 혈이 잘 생기도록 하

거나 기운이 잘 돌아서 장부기능이 정상적으로 잘 발휘되도록 해주는 역할 외에도 생기(生

肌 : 새살이나 피부 근육 등이 잘 만들어질 수 있도록 돕는 기능)작용을 돕는 효과가 있습

니다.

[탈모치료컬럼 ] 탈모치료에 쓰이는 내복(內服) 한약재의 특징.(탈모약)



지금까지 대략 살펴본 바에 의하면 혈(血)과 정(精), 기(氣)를 보충해주면서 물과 불의 기

운을 조절해주고 기운이 잘 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약재들이 주로 쓰여졌음을 알 수 있었

습니다

더불어 이러한 약재에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瘀血)을 풀어주는 약재들이 가미된다면 더욱

좋을 것이라고 보며 실제로 처방구성을 보면 활혈(活血)시켜주는 약재들이 조금씩 가미되

어 있습니다. 이러한 효능을 발휘하는 약재에는 목단피, 홍화, 당귀미, 계지, 소목 등이 있

습니다.


다음에는 탈모치료에 있어서 외용약재로 쓰이는 한약재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출처 : 탈모한의학박사 이문원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