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BS 교통방송 한방백과

7/19 TBS 교통방송 한방백과 -중의학과 한의학-

 

 

7/19 TBS 교통방송 한방백과 -중의학과 한의학-

진행 : 이문원 한의학 박사

요즘은 치료를 받기 위해 한국의 제 진료실까지 찾아오시는 중국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진료를 하고 치료법에 대해 얘기하다 보면 종종 "저는 중국에서도 한약도 먹어봤지만 잘 치료되지 않아서 한국에 온 건데 선생님은 중의학과 어떻게 다르게 진찰하고 한약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라고 물으십니다. 중국의 의학과 한국 한의학의 차이에 대해 궁금하셨던 것이죠사실 이런 질문은 한국 분들도 자주 물어오십니다. 과거의 한국의 역사가 중국의 역사와 연관성이 많았고 중국의 다양한 서적과 사상들이 한국에도 많이 도입되었기 때문에 한의학 또한 중의학과 같을 것으로 보고 그 차이가 궁금하셨던 것이죠

 

사실 한의학의 시작은 중국의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적어도 조선시대 중반까지는 중국의 의학을 거의 그대로 받아들이고 따른 것이죠. 그런데 중국의 의학이 임상의의 경험과 지식보다는 유학자들의 사상과 관념이 더 강해지면서 오히려 다양한 이론들이 난무해지고 또 이론에 치우친 면도 생기는 폐단이 있었습니다. 또한 중국은 땅이 넓어서 각 지역마다 의학적 특성이 달랐고 사용되는 약재들이 달라서 각 지역에서 나오는 의학서적들이 한국에 도입되어 접목되는데 서로 맞지 않는 부분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조선시대의 왕인 선조는 향약(즉 조선에서 나는 약재)을 소개하고 임상적 지식에 기반을 둔 조선의 의학이 만들어지기를 원했습니다. 그런 배경에서 태어난 게 바로 "동의보감"이고 동의보감 이후로 조선의 한의학이 태어나기 시작한 거라고 볼 수 있죠. 한국 한의학의 형성은 이렇듯 국가적 사업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선조는 "중국의 의학서적 이론과 사용되는 약재가 조선의 실정과는 다르다"고 지적하며 조선의 의학을 만들어줄 것을 지시하였습니다. 선조는 동의보감의 편찬을 지시하기 이전에 어의였던 양예수에게 "향약(, 조선의 약재)의 효능을 알리고 이를 재료로 한 의학서적을 집필하게 하였는데 그 책이 "향약집험방"이었고 이어서 허준에게는 <동의보감>의 편찬을 지시했던 것이죠.

 

시간이 흘러 지금의 중국의학은 서양의학과 결합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고 한국의 한의학은 기존의 한의학이론을 그대로 계승하면서도 사상의학이라는 체질이론이나 추나요법, 약침요법과 같은 새로운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등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가고 있어서 중국의학과의 차이를 형성하고 있습니다.